안녕하세요.
지담희파파입니다.
오늘은 벼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벼는 자연재해, 조수해, 화재, 병충해를 보장하는데
주로 병충해로 신고가 많이 들어옵니다.
손해평가사로써 벼 병충해 분별을 할수가있어야 하기때문에
병충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고추조사는 7월 8월달에 조사를 많이 합니다.
고추 병충해를 보장해주는데 각 병충해별로 1회씩 보장을 하기때문에
각 병충해를 구별을 할 수가 있어야 합니다.
그러면 벼에 대해서 기본적인 지식을 배워보고자 합니다.
9월부터 벼 손해조사가 시작됩니다.
벼조사는 손해평가사의 꽃이라고 하는 그런 조사입니다.
우리 주식이기도 하고
예전부터 많이 해오던 농사이기도 합니다.
손해평가사 기본용어
평년수확량
가입년도 직전 5년중 표준수확량과 실제수확량값을
가입횟수에 따라 가중평균하여 산출한, 해당농지에 기대되는 수확량
표준수확량
가입품목의 품종, 수령, 재배방식에 따라 정해진 수확량
가입수확량
보험에 가입한 수확량으로 평년수확량의
일정범위(50%~100%) 내에서 계약자가 결정한 수확량으로
가입금액(가입수확량*가입가격)의 기준이 됩니다.
쌀의 종류
알벼와 쌀(현미, 백미)
벼의 생육과정
벼는 영양생장기와 생식생장기로 나눠집니다.
영양생장기는 싹이틀때, 모내기, 새끼칠때 단계로 나눠지며
생식생장기는 마디사이 자랄때, 출수기, 여뭄때로 나눠집니다.
손해평가사
벼 농사 과정
간단하게 벼 농사 과정을 사진으로 알아보았는데요
그러면 벼 조사를 하기위해서 알아야 하는 기본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
벼 보상하는 대상재해
손해평가사가 알아야 하는 제일 중요한 보상하는 재해입니다.
보상하는 재해는 자연재해, 조수해, 화재 그리고
특약으로는 병충해를 보장하는데요.
병충해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보장하는 병충해가 어떤종류인지 손해평가사로서 명확하게 구별을 해야합니다.
총 7가지가 있습니다.
흰잎마름병, 줄무늬 잎마름병, 벼멸구, 도열병, 깨씨무늬병, 먹 노린재, 세균성벼알마름병
손해평가사 벼 보험기간
손해평가사 벼 논작물 보험금
병충해는 손해평가사로써 잘 알고 있어야 합니다.
손해조사를 하는데 어떤 병충해인지는 구별을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가장 좋은 방법인 사진으로 알아보겠습니다.
벼 병충해
줄무늬잎마름병
도열병
깨씨무늬병
흰잎마름병
세균성벼알마름병
벼멸구
먹노린재
다음은 실제 손해평가사 시험에서 어떻게 나오는지
간단한 몇문제 올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한번 풀어보시기 바랍니다.
손해평가사 1차시험문제 예시
손해평가사 2차시험 문제(8회)
답안지는 아래 링크 확인해보시면 되겠습니다.
손해평가사 8회 기출문제 답안지
손해평가사 참고가 되는 포스팅
'손해평가사 실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해평가사] 콩 조사 수확량 표본조사 (0) | 2024.10.29 |
---|---|
<손해평가사> 벼조사 방법 (17) | 2024.09.01 |
손해평가사 고추 병충해정보 (0) | 2024.07.30 |
손해평가사 고추 조사 (생산비보장방식) 손해평가 방법 (0) | 2024.07.12 |
손해평가사 적과후 착과수 조사 (0) | 2024.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