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지담희파파입니다.
손해평가사 공부를 하다 보면 많은 작물들을 만나고 거기에 시설 그리고 가축까지 공부를 하게 됩니다.
하지만 실무에서는 농작물까지만 하게되고 좀 더 경력이 있어야 가축과 시설 조사를 하게 됩니다.
오늘은 그래도 시험에서 나올만한 돼지에 대해서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손해평가사는 가축부분에서도 보험사고조사를 하게 됩니다. 농작물도 너무 많아 복잡한데 가축까지 하려니 정말 답답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제가 돼지는 쉽게 이해갈수있도록 최선을 다해서 포스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10kg 비육돈 수취가격
돼지 보험가액을 보면 [110kg 비육돈 수취가격]을 많이 보셨을겁니다.
왜 돼지는 110kg 이냐? 하실겁니다.
첨엔 저도 무작장 외웠습니다. 하지만 저번에도 말씀드렸듯이 단순 외우면 정말 금방 까먹게 됩니다.
그래서 왜 돼지는 110kg를 비육돈 수취가격의 기준을 두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돼지는 태어나면서
자돈(포유, 이유~30kg) > 육성돈 (30~60kg) > 비육돈(60~110kg) 이런 순으로 성장을 합니다.
돼지는 110kg까지 가면 도축을 하게 됩니다.
그래서 110kg 비육돈 수취가격이란 말을 사용하게 된 것입니다.
(수취가격 = 판매자가 돈을 받는 가격)
사진처럼 정말 귀여운 돼지를
우리는 맛있는 고기를 먹기 위해서 도축을 하게 됩니다. ㅠ
어휴~!
보기만 해도 군침이 돕니다.
저는 소고기보다 돼지고기가 더 맛있더라고요.
사실 돼지고기가 더 담백하고 좋은 부위는 쫄깃하기도 합니다.^^
돼지 도축방법
돼지는 도축방법이 2가지가 있습니다.
우리 교재에는 탕박도축 얘기만 나오니깐 우리는 탕박도축에 집중하시면 되겠습니다.
실제로도 탕박도축을 96.2%인 반면 박피도축은 3.8%라고 합니다.
여기서 탕박도축은 털만 제거해서 도축하는 방식이고
박피도축은 가죽을 제거해서 도축하는 방식입니다.
지육율이란?
예를 들어 설명하게 쉽게 돼지가 100kg 라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탕박도축을 하면 필요 없는 부분을 제거하고 위에 사진처럼 털을 전부 제거한 채로 남게 됩니다.
저 무게가 100kg X 76.8% = 76.8kg이라는 것입니다.
우리가 돼지를 먹을 수 있는 부분이 76.8kg 그람이라는 뜻입니다.
필요 없는 부분전부 제거하면 그렇게 되겠지요.
원래 지육률이 77%인데
교재에는 지육율 76.8%로 되어있습니다. 시험에서도 이렇게 나오기 때문에 무조건 암기하셔야 합니다.
돼지 보험가액
자~~ 이제 교재를 한번 봐봅시다.
단순 암기는 전부 잊어버린다고 했지요?
그래서 그나마 암기 쉽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비육돈, 육성돈, 후보돈 보험가액
돼지는 왜 적용체중을 5kg 단위로 끊었을까요??
예를 들어 68kg나 61kg의 돼지는 산식에는 65kg로 적용이 됩니다.
그 이유는?
돼지는 식사전후나 배변전후에 따라 킬로수가 바뀐다고 합니다.
밥 먹고 재면 63kg였던 돼지가 66kg가 될 수가 있는 것이고요.
66kg였던 돼지가 배변을 했더니 64kg가 될 수가 있는 것이지요.
그래서 그 중간 값인 65kg로 정하는 게 가장 합리적이라고 판단했을 것입니다.
네네 지담희 파파 님.. 이제 알겠습니다.
근데 도저히 보험가액이 외워지질 않습니다.
제발 쉽게 외우는 법좀 알려주세요 ㅠ
이러신분들이 있을 겁니다.
너무 생소하고 평상시에 돼지만 알지 비육돈, 육성돈 이런 용어를 잘 모르니깐요.
걱정 마세요
어쩔 수 없이 외우셔야 하지만 최대한 이해 가도록 도와드리겠습니다.
색상을 크게 2개로 나눠봤습니다.
자돈가격은 협정가액으로 보통 15만 원으로 정해졌습니다.
위에도 적었듯이 30kg까지 자돈입니다. 그래서 보통 자돈 30kg라고 합니다.
그걸 기준으로 산식이 만들어진 것인데요.
녹색에서 80을 나눠준 것은 110kg = 30kg + 80kg라서 80을 나눠준 것일 겁니다.
이것은 저의 추축이니 그러려니 하고 넘어가시길 바랍니다.
종빈돈, 종모돈 보험가액
자 그럼 나머지 종빈돈과 종모돈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보험가액 구하는 공식 중 비육돈, 육성돈, 후보돈 보험가액이라고 적혀있습니다.
이 공식은 주로 비육돈 구할 때 사용하는 공식입니다.
갑자기 많은 공부를 하셔서 종빈돈 구하는데 저 공식을 사용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절대! 절대~ 그러시면 안 됩니다.
왜 그 공식 사용하면 안 되는지는
전부 교재에 나와있습니다.
종빈돈은 비육돈 지육단가에 맞는 금액 찾으시면 그게 바로 보험가액입니다.
종모돈 = 종빈돈 X 120% 하시면 됩니다.
위 산식만 봐도 뭐가 협정 가액인 줄 알겠지요??
이제 돼지 나오면 무조건 풀으셔야 합니다.
다들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하시길 바랍니다.
항상 응원하겠습니다.
손해평가사 2차 기출문제 다운로드
손해평가사 8회 기출문제 답안지
손해평가사 7회 기출문제 답지
손해평가사 6회 기출문제 답안지
'손해평가사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해평가사 1과목 필수 암기 다운로드 (1) | 2023.07.17 |
---|---|
손해평가사 밭작물 특이한 옥수수 (3) | 2023.07.16 |
손해평가사 보험기간 (2) | 2023.05.30 |
[손해평가사] 수확감소보장방식 vs 과실손해보장방식 vs 생산비보장방식 (1) | 2023.05.22 |
[손해평가사] 종합위험방식 수확감소보장 벼 보장재해 (0) | 2023.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