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지담희파파입니다.
저는 8회 합격한 손해평가사입니다.
오늘은 동상해로 인한 피해사실 확인조사에 대해서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먼저 농작물 피해가 있을때 농작물이 어떻게 피해를 입었는지 피해사실 확인조사를 하게 됩니다.
실제 사과 봄동상해 피해를 입었을경우 실제 피해사실 확인조사를 어떻게 했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목차
사과꽃 구조와 수정과정
먼저 사과가 어떻게 열매를 맺게되는지 과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사과꽃 구조
사과꽃은 위 사진과 같습니다. 수술, 암술, 씨방, 화경 이렇게 이루어져 있습니다.
사과는 타가수정을 하기 때문에 2품종 이상 식재를 해야 합니다.
사과꽃 수정과정
1. 벌이 수술의 꽃가루를 암술에 뭍이면 수정이 됩니다.
2. 5~7일 이후에 꽃잎이 떨어집니다.
3. 암술, 수술 부분이 떨어지고 씨방만 남는데 이것이 영양분을 흡수하여 점점 커지면서 사과가 됩니다.
모든 사과를 전부다 놔두게 되면 서로 영양분 경쟁을 하기 때문에 사과가 커지기가 어렵습니다.
그래서 제일 강한 중심과만 제외하고 적과를 하게 됩니다.
꽃이 수정되어 과실이 되면 5~6개 과실 전체를 과총이라고 부릅니다.
사과 봄동상해 피해사실 확인조사
사과는 봄동상해는 개화기 냉해 피해를 주로 입게 됩니다.
냉해피해를 입게 될때는 주로 개화 및 유과기에 영향을 미치는 피해를 입게 됩니다.
중심화의 개화에 영향을 미쳐 암술이 고사되고나 화경단축이 일어나거나 수정불량을 동반함으로써 정상적인 개화가 진행되지 못하는 현상이 일어납니다.
사과는 1차꽃(정화)이 개화가 된 후 2차꽃(액화)이 피게 되며, 피해조사는 중심화의 피해만 판단합니다.
하지만 중심화가 아닌 측화를 남길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땐 고품질 사과를 수확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배주갈변
개화때 냉해 피해를 받는 경우는 위 사진과 같습니다.
암술부위가 피해를 보며, 암술대와 연결되어있는 씨방 부위가 검게 변합니다. 이를 배주갈변이라고 합니다.
중심화 화경단축
중심화가 개화기때 피해로 인해서 정상적으로 꽃을 피우지 못하고
암술피해로 인해서 가운데 부분이 까맣게 변한 중심화 고사가 일어납니다.
또한 중심화 화경(꽃자루)가 측화보다 짧은 화경단축 현상이 일어납니다.
이런 냉해피해 사실 확인조사가 이루어지고 확정이 되면 추후에 착과수조사를 하고 나서 착과감소가 일어나면 착과감소보험금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냉해피해는 3월말에서 4월 초에 일어나며 주로 7월에 사과착과수 조사를 하고 9월에 착과감소보험금이 지급됩니다.
오늘은 냉해피해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공부에 도움될만한 참고블로그
'손해평가사 실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해평가사 적과후 착과수 조사 (0) | 2024.06.08 |
---|---|
<손해평가사> 실무 양파 수확량조사 (0) | 2024.04.27 |
포도 복숭아 자두 수확량조사 (0) | 2023.06.25 |
손해평가사 실무에서 가장 필요한 어플 다운로드 (0) | 2023.06.10 |
손해평가사 조사나가기전 준비사항 (16) | 2023.05.16 |